내비게이션 내용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푸터 내용 바로가기

경찰조직연혁

2020년대

연도, 날짜, 내용으로 구성된 표입니다.
연도 날짜 내용
2021 3월30일

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(대통령령 제31565호, 21. 3. 30.)

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(행정안전부령 제245호, 21. 3. 30.)

  • 21년도 소요정원 상반기 배정분 반영(총 1,137명)
  • · (인력증원) 수사개혁 317, 민생치안 70, 정책역량 10, 경비강화 80, 의경대체 660 증원
  • · (직급조정) ▵총경±3, 경정(5급)±62, 경감±423
  • - 시·도경찰청 사이버수사과장(대전,전북) (경정2→총경2) 상향
  • - 시·도경찰청 과학수사과장(대전) (경정1→4급·연구관·총경1) 상향
  • - 시·도경찰청 지구대장 직급(경감56→경정56) 상향
  • - 시·도경찰청 시설관리 역량 강화를 위해 5개청에 시설계장(±5)반영
  • ※ ▵광주․경기북․충북․제주(6급→5급) ▵중앙학교(7급→5급)
  • - 경찰병원 직급구조 개선을 위해 수간호사 6급→5급(±1) 직급상향
  • - 수사지휘 역량 강화를 위해 전국 경찰서 수사·형사부서 등 팀장 직급을 경위→경감(±423) 상향
7월30일

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(행정안전부령 제272호, 21. 7. 30.)

벤처형 조직 존속기한 연장(2021.7.31.→22.7.31)

기구개편

  • - 본 청 : 정보통신담당관→정보통신기술담당관
  • - 시도청 : 청문감사담당관→청문감사인권담당관
  • - 경찰서 : 청문감사관→청문감사인권관
9월24일

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(대통령령 제31999호, 21. 9. 24. 시행 21.10. 5.)

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(행정안전부령 제279호, 21. 9. 24. 시행 ’21.10. 5.)

  • · (기구신설 및 인력증원)
  • - 경찰서 1급지 8개과(세종남부경찰서) 신설
  • - 93명(총경1, 경정8, 경감19, 경위11, 경사25, 경장23, 6급1, 8급5)
  • · (기구개편) ▵ 세종경찰서→세종북부경찰서(1급지에서 2급지로 하향조정)
11월23일

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(대통령령 제32140호, 21.11.23.)

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(행정안전부령 제287호, 21.11.23.)

  • - 21년도 소요정원 하반기 배정분 반영(총 1,556명)
  • - 경찰관(1,016명) : 경정11, 경감24, 경위67, 경사209, 경장290, 순경415
  • - 일반직(540명) : 6급24, 7급52, 8급261, 9급202, 연구사1
12월14일

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(대통령령 제32204호, 21.12.14.)

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(행정안전부령 제291호, 21.12.14.)

  • - (인력증원) ▵본청(공공데이터 5급+2명)
12월31일

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(행정안전부령 제297호, 21.12.31.)

  • - (관리운영직군 직렬변경) ±55
  • - (총액인건비 임기제 정원 조정) -173
2020 2월25일

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(행정안전부령 제162호, 20. 2. 25.)

  • - 경찰병원 인력증원 의료기술주사보+1
3월31일

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(대통령령 제30566호, 20. 3. 31.)

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(행정안전부령 제716호, 20. 3. 31.)

  • - 20년도 소요정원 상반기 배정분 반영
  • · (인력증원) 지역경찰 등 민생치안 분야 1,240명, 의경대체 789명 증원
  • · (기구신설) ▵경기남부 제4부장(경무관) ▵충남·경북·경남 사이버안전과(총경), 인천·전남· 경북 과학수사과(총경)
    ▵인천청 교통과(총경), 특공대(세종·전북·경북)
  • · (직급조정) ▵지방청 사이버안전과 신설(경정3→총경3)
  • 지방청 과학수사과신설(경정3→4급·연구관·총경3), 인천 교통과(경정1→총경1)
  • 본청 정보외근(경감→경정 ±4), 지방청 경감계장(경감→경정 ±52)
  • 지방청 시설계장(경사-2, 8급-3→사무관+5), 경찰서 수사·형사 팀장(경위→경감 ±424
  • · (명칭변경) 본청 보안1과→보안기획과, 보안2과→보안관리과, 보안3과→보안수사과,
    보안4과→ 보안사이버과, 서울청 보안1과→보안관리과, 보안2과→보안수사과
10월30일

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(대통령령 제31132호, 20. 10. 30.)

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(행정안전부령 제208호, 20. 10. 30.)

  • - 20년도 소요정원 하반기 배정분 반영
  • · (인력증원) 지역경찰·고속도로순찰대 등 민생치안 분야 1,961명(▵ 민생치안 788, 인권· 피해자보호 116, 수사개혁 138, 정책역량 47, 의경대체 677, 관서신설 195)
  • · (기구신설) ▵ 경찰서 1급지 9개과(울산북부서, 남양주북부서) 신설 ▵ 정부세종청사경비대 폐지, 세종기동대신설
  • · (기구개편) ▵ 남양주경찰서→남양주남부경찰서
12월31일

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(대통령령 제31346호, 시행 21. 1. 1.)

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(행정안전부령 제230호, 시행 21. 1. 1.)

  • - 국가수사본부 신설에 따른 수시직제 538명 반영
  • · (인력증원) 국가수사본부 522명(본청 35명, 시·도경찰청 487명),자치경찰 15명(본청 3명, 시·도경찰청 12명), 기타 1명(본청 노무사 1) 증원
  • · (기구신설)
  • 국가수사본부 도입
  • - 국가수사본부 산하에 2관(수사행정), 4국(수사지휘·조정 등), 1담당관(인권) 편제
  • - 기존 수사·사이버*·보안**·과수를 편제하면서 ‘수사기획조정관’, ‘형사국’ 신설
  • * 사이버안전국 → 사이버수사국, 보안국 → 안보수사국으로 개편
  • - 課단위 ‘수사심사정책담당관’, ‘반부패공공범죄수사과’, ‘마약조직범죄수사과’ 신설
  • - ▵여성대상범죄수사 ▵아동청소년수사 ▵외사수사 ▵교통조사 기능을 형사국으로 이관
  • - 서울청 수사차장 신설 및 시·도경찰청 2부장(경기남부 3부장)을 수사부장으로 개편
  • - 시·도경찰청의 직접 수사기능 강화를 위해 ‘광역수사대’ 9대 신설 등 수사인력 증원
  • - ‘수사심사담당관(시·도경찰청)’, ‘수사심사관(경찰서)’ 신설 및 기록물관리인력 증원
  • - 과학치안정책팀 신설 및 인력증원(총액인건비)
  • 자치경찰제 도입
  • - 기획조정관 소속으로 자치경찰 사무 지원을 수행하는 ‘자치경찰담당관’ 신설
  • - 시·도경찰청에서 자치경찰 사무를 수행할 ‘자치경찰차장(서울)’ 및 ‘자치경찰부장’ 신설
  • - 정부 청사경비대(서울,대전,과천)를 폐지하고, 서울청에 6기동대, 7기동대, 8기동대 신설
  • - 11개 시·도경찰청(대구, 광주, 대전, 울산, 경기북부, 강원, 충북, 충남, 전북, 전남, 경남)은 경무과와 정보화장비과를 경무기획정보화장비과로 통합하고, 경비교통과를 경비과와 교통과로 분리
  • · (직급조정) ▵시·도경찰청 및 경찰서 수사심사관 직급조정 ±110(경장→경감)
  • · (명칭변경) ▵본청(외사국 4과를 3과로 축소)